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7

신경통의 개념, 원인, 종류 및 치료 1. 신경통의 개념 신경통이란 증상의 이름이지 병명이 아니다. 우리 몸 안에는 많은 신경이 전신에 분포한다. 몸에 무슨 이상이 있으면 신경이 자극을 받아서 통증을 느낀다. 예를 들어 어디를 삔다든가, 류머티즘에 걸리다든가, 혹은 통풍을 앓고 있다든가 하면 그 부위의 신경이 자극을 받아 통증을 느낀다. 그러나 바로 신경통이라고 말하지 않고 단순히 몸에 통증이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신경통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신경통이란 신경이 뻗어 있는 길을 따라 통증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 통증은 그저 둔한 통증의 정도가 아니다. 전형적인 경우는 갑자기 찌르르하는 매우 강한 통증이다. 그러나 그것은 긴 시간 지속되지 않고, 몇 분간 조용히 참고 있으면 사라진다. 그러나 얼마 있으면 또다시 통증이 시작된다. 그리고 통증과.. 2022. 9. 8.
나이에 따른 건강관리 나이가 많아질수록 건강이 악화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행동도 바뀌어야 합니다. 아동기와 청년기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대부분 사고입니다. 50세 이후에는 심장병과 암이 가장 큰 사망 원인입니다. 노년기에는 뇌졸중, 골절, 치매 등이 큰 위험 요인입니다. 최근 평균 수명은 77세이지만, 이 중 25% 65세 이전에 사망합니다. 이처럼 조기 사망하는 원인은 사고나 어린 나이에 경험하는 질병 때문이기도 하지만, 예방이 가능한 질병을 치료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나이에 무관하게 아래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질병과 조기 사망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첫째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예방접종입니다. 셋째는 검사를 통한 질병의 조기 발견입니다. 이 세 가지 .. 2022. 9. 7.
소아 발열의 원인과 검사 그리고 치료 소아에게 있어서 열은 원인 규명을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초기 증상입니다. 열은 흔히 감염증과 동일시되는 일이 있습니다. 그러나 열이 질병은 아니고 몸과 질병이 싸우는 과정으로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 1. 소아기의 체온 소아의 체온은 성인보다 덜 안정적이고, 0.25~0.5℃ 더 높습니다. 소아의 밤과 낮의 체온 변동은 생후 2년까지는 보통 없습니다. 체온 변동은 6세에서 사춘기에 걸쳐서 뚜렷해집니다. 성인에서 관찰되는 체온 변동은 1℃의 변화보다 더 클 수 있습니다. 체온의 최고온도는 5:00~7:00 P.M. 에 도달합니다. 체온의 최저 온도는 2:00~6:00 A.M.에 도달합니다. 이런 정상적 체온 변동의 상실은 흔히 미열의 첫 증후가 됩니다. 미숙아는 체온이 만삭아 보다 0.5°C 가량 낮.. 2022. 9. 7.
성인의 발열 원인과 진단 및 주의할 점 1. 발열의 정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체온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 정상체온(구강) 범위 ① 범위 : 35.8~37.2℃ (96.5~99° F) ② 하루 중 : 최저-오전 2시~오전 4시경 최고-오후 6시~오후 10시경 2. 열의 원인 [1] 발열의 원인 (1) 염증(inflammation) • 감염(infection) • 교원성 질환(collagen disease) • 조직 손상(화상, 심근경색증) • 알레르기 (2) 신생물(neoplasia) (3)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s) • 갑상샘 항진증(hyperthyroidism) • 부신 기능 항진증(hyperadrenalism) • 통풍(goat) • Porphyria (4) 기타 • 열사병 (heat stroke) •.. 2022. 9. 6.
가정의학이란 무엇인가. 가정의학 전문의의 개념과 기능 1. 가정의학의 탄생 배경. 가정의학이 생겨난 이유 과학의 발달로 현대의학은 급진적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현대의학은 전문화, 세분화되었다. 이런 추세는 의학의 학문적 발달에는 많이 기여했지만, 의료적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낳았다. 지나친 세분화로 의료가 일반인이 쉽게 이용하기에는 매우 복잡하게 되었다. 여러 의사를 찾게 됨에 따라 의료의 과잉과 낭비가 발생했다. 의료가 지나치게 기술 의존적으로 변했고 의료수가가 급격히 상승하였다. 그리고 의료의 대상 범위가 인간 전체보다는 특정 질환이나 특정 장기만을 관심 갖게 됨에 따라 의료가 비인간화의 성향으로 바뀌었다. 결국 의사와 환자 사이에 불신이 생겨났다. 이와 같은 의료의 역기능에 대해 일반인들은 의료의 변화를 요구하였다. 의료계는 .. 2022. 9. 6.